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관리 메뉴

사건의 지평선

당신이 성공하지 못하는 결정적 이유 본문

저 널

당신이 성공하지 못하는 결정적 이유

이벤트호라이즌 2017. 3. 22. 19:56

여러분 모두 성공하고 싶으시죠?


좋은대학, 좋은직장 누구나 꿈꾸는 일입니다. 성공할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저도 그걸 잘 몰라서 블로그나 하고 있습니다.ㅎㅎ

아무튼 여러분이 성공하지 못하는 결정적 이유를 얘기해볼려고 합니다.


우리는 흔히 성공한 사람들이 자신의 노력만으로 성공했다고 생각합니다. 

단언컨대 혼자만의 노력으로 성공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아니면 제손에 장을 지지겠습니다.(Feat.이정현)

한사람의 성공에 사회적 환경이 얼마나 결정적인지 살펴봅시다.


만약 이들이 한국에서 태어났다면 어땠을까요?

아인슈타인 - 수학과 물리밖에 할 줄 몰라 대학진학 실패후 비정규직 노동자로 전락할것입니다.

워렌 버핏 - 대출받아 주식에 투자하지만 코스닥 폭락후 한강에 투신할지도 모릅니다.

스티브 잡스 - 휴대폰 판매점을 시작하지만 치솟는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하고 파산 할 것입니다.



위처럼  바로 여러분들이 

한국에 태어났기때문에 여러분들은 결정적으로 성공할 수 없습니다. 

뭔 개같은 소리야 하실수 있지만 여러분들이 얼마나 

잘 성공할지 한국의 사회적 환경을 살펴볼까요?


우리의 친구 철수와 영희를 만나봅시다.

철수는 부잣집 아이지만 영희는 가난한집 아이입니다.

그럼 어쩔 수 없이 얻은 가정환경으로 인해 어떤 차이가 생기는지 확인해봅시다. 

조사에 따르면 부모소득이 월490만원 이상인 학생의 30위권 명문대 진학률은23.4%인 반면 

부모소득이 월110만원 이하인 학생의 진학률은 2.3%에 불과합니다. 

본인의 탓이 아닌 부모의 경제력만으로 진학률이 10배정도 차이가 납니다. 

또 다른 조사에 따르면 외고 학생들 경우 장래희망이고소득 전문직인 학생은 76%에 이르지만 

실업계 학생들의 경우는 3%에 불과합니다. 


가난하면 꿈도 가난해지는게 현실이라는 증거일까요? 


그러나 가난한 영희는 열심히 공부해서 대학을 가고 졸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취업을 앞둔 영희에게는 두가지 길이 있습니다.

1. 임금 근로자중 52%를 차지하며 월평균 283만원을 받는 정규직.

2. 48%를 차지하며 정규직과 비슷한 시간을 일하지만 월평균 140만원 받는 비정규직.

여러분 둘중의 한명은 비정규직이 될 수 밖에 없는 우울한 현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바로 임금불평등이죠.







그렇다면 혹시 자수성가를 꿈꾸며 창업할 생각이 있다면 집어 치우세요. 

한국에서 신생기업의 51.6%가 2년안에 망하고 70.4%가 5년안에 망합니다.

이렇게 수치로 살펴보니 헬조선이 맞는거 같죠?

이런 현실에서 벗어날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여러분이 처한 사회적 환경을 바꾼다 입니다.

이것은 대단한 노력과 시간이 걸립니다. 

하지만 여러분들이 하지 않으면 아무도 하지 않습니다.

사회적 환경을 개선해야만 여러분의 삶도 개선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여러분들이 우리 사회와 정치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한국에 태어난것은 선택할 수 없었지만 한국의 사회적 환경을 바꾸는 것은 

여러분이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임금불평등의 문제는 미국,유럽처럼 자산계층의 문제가 아닙니다. 

한국은 경제가 성장한 만큼임금을 주지 않습니다. 

임금불평등의 문제는 바로 기업간의 불균형입니다. 

과거 80년대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임금격차는 10%입니다. 

이후 40년동안 꾸준히 그 차이가 증가했습니다. 

한국의 100대 기업의 전체 고용은 4% 그리고 전체 이익의 60%를 가져가죠.

4%가 60%를 가져가는겁니다. 나머지 중소기업은 고용을 70%나 하는데 

전체 이익의 30%밖에 못 가져갑니다.그러니까 임금불평등이 발생하는 겁니다.


우리 세대는 이러한 문제를 말할줄 아는 세대가 되어야 합니다. 

부모세대처럼 주는대로 먹다가는 부모세대보다 못 살게 되는 최초의 세대가 될겁니다.

아니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경쟁에서 이길 생각보다는 

경쟁 자체가 잘못되었다고 이야기 할 줄 알아야 합니다. 

사회와 정치에 관심을 가지고 다가오는 조기대선에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는 지혜와 안목을 키워 봅시다.



많은 사람들이 충고를 받지만,

오직 현명한 자만이 충고의 덕을 본다.

- 푸블릴리우스 시루스 -





'저 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짜뉴스와의 전쟁  (0) 2017.04.13
인간을 위한 4차 산업혁명?  (0) 2017.04.11
특이점이 온다 - 레이 커즈와일  (0) 2017.03.31
뇌가 존재하는 이유(Feat. 운동)  (0) 2017.03.27
#1  (0) 2017.03.1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