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저 널 (8)
사건의 지평선
과거에 비해 현재는 밤에도 볼거리 먹거리 즐길거리가 굉장히 풍부한 시대입니다. 그런 시대이다 보니야간에 근무하는 직업도 있고 올빼미형, 종달새형이라고 분류하며 야간활동을 주로하는 사람과 주간활동을하는 사람으로 나누기도 합니다. 그래도 어쨋든 잠은 자야 생활을 할 수 있는건 분명한데요.그래서 이 잠에 대해 알아보고 합니다. 수면이 주는 효과와 올바른 수면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잠은 얼마나 자야 충분할까요? 일반적으로 알려진 적정수면시간은 7~8시간입니다. 그렇다면 반드시 7~8시간을자야할까요? 5시간만 자도 충분한 사람도 있고 10시간을 자야 되는 사람도 있다고 합니다.나폴레옹은 수면시간이 굉장히 적다고 알려져 있는데 알려진바에 의하면 굵고 짧게 푹자는 토막잠으로일상생활을 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평..
벌써 2017년 4월 중순입니다. 앞으로 다가올 여름을 대비하여 몸만들기에 딱 좋은 시간이 남았습니다.그래서 지금쯤 다이어트를 결심하시거나 몸만들기를 계획하시는 분들이 많을것으로 생각되는데요.저는 남자이니 남자의 다이어트 또는 몸만들기에 대해 말씀드릴까 합니다.남자의 몸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 이렇게 3가지 인데 3가지 바디 타입에는각 타입별로 근육을 형성하기 위한 운동 전략이 있습니다. 다이어트 또는 몸만들기 모두 운동을 통하지 않고는가능하지 않으므로 우선 자신의 체형에 대해 정확히 알고 효율적인 운동을 하는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운동을 해보지 않은 분들은 모르실 수 있는데 운동으로만 효과적인 다이어트나 몸만들기는 굉장히 힘듭니다.효과적인 식단을 짜지 않고는 운동..
최근 구글은 구글뉴스의 '팩트체크(Fact Check)'기능을 전 세계의 검색 결과 및 뉴스 섹션에 적용하며가짜정보와의 전쟁을 선포했습니다. 이 기능은 지난 10월 미국과 영국에 우선 적용되었으며이제 구글이 지원하는 모든 언어사이트로 확장될 것입니다.이를 이용하여 유저가 팩트체크가 사용된 소스에서 답을 찾을 수 있는 주제에 관해 검색하면 3종류의사실 확인과 관련된 토막 정보가 포함되어 나타나게 됩니다. 검색한 정보나 뉴스의 정보, 출처가사실인지 가짜인지 아니면 그 중간인지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구글과 같은 팩트체크가 중앙일보, JTBC, SBS, 뉴스타파등에 적용되었는데 구글과 같은 3종류의 정보대신 팩트체크라는 라벨만 표시됩니다. 이같은 현상은 SNS를 통해서 무분별하게 등장한 가짜뉴스의..
제4차 산업 혁명은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낸 혁명 시대를 말합니다. 18세기 초기 산업 혁명 이후 네 번째로 핵심은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물 인터넷, 무인 운송 수단, 3차원 인쇄, 나노 기술과 같은 6대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 혁신입니다. 제4차 산업혁명은 물리적, 생물학적, 디지털적 세계를 빅 데이터에 입각해서 통합시키고 경제 및 산업 등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신기술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물리적인 세계와 디지털적인 세계의 통합은 O2O(Online to Offline)를 통해 수행되고, 생물학적 세계에서는 인체의 정보를 디지털 세계에 접목하는 기술인 스마트워치나 스마트 밴드를 이용하여 모바일 헬스케어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 증강현실도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세계의..
구글 엔지니어링 이사이자 미래학자인 레이 커즈와일(Ray Kurzweil)21세기의 에디슨이라 불릴 정도며 발명가, 컴퓨터공학자, 미래학자로 불리며 특이점이온다의 작가이기도 합니다. 뉴욕타임스의 베스트셀러로 선정된 그의 저서에 기술한 나노공학, 로봇공학, 생명공학의 발전을 포스팅해보겠습니다.그가 예측하는 앞으로 다가올 미래예측은 놀라움과 감탄의 연속일 정도로 현실적이며 실현가능하다 할 수 있습니다.27년전인 1990년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을 능가할 것이며 적어도 2010년에는 컴퓨터가 인터넷을 통해 무선으로정보를 주고받을 것이라 예측했습니다. 1998년 그의 예측대로 IBM의 슈퍼컴퓨터인 딥블루가 체스대회에서 세계 체스챔피언인 게리 카스파로프에게 승리를 거두며 그의 예측을 증명한 바 있습니다.현재 이 블..
뇌가 존재하는 이유가 뭘까요? 신경학자인 다니엘 월퍼트에 의하면 우리가 뇌를 가지고 있는 명백한 이유는 단 하나의 이유 때문이라고 합니다. 바로 적합하고 복잡한 행동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적합하고 복잡한 행동을 만들기 위해서라는 명제를 증명하기위해 다니엘 월퍼트는 체스를 예로 듭니다. IBM에서 개발한 인공지능인 Deep Blue는 세계적인 체스챔피언들과의 대결에서 이겼습니다. 인간을 이긴 최초의 인공지능인 셈이죠. 하지만 인공지능에 있는 알고리즘으로 인간을 이긴것이지 체스를 스스로 움직이는 손재주로 이긴것이 아닙니다. 최첨단 로봇학의 발전도 전에 없을 정도의 수준으로 이루어 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인간의 움직임과 같다 할 정도의 수준은 아직 멀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뇌를 가지고 있는것은 인간..
여러분 모두 성공하고 싶으시죠? 좋은대학, 좋은직장 누구나 꿈꾸는 일입니다. 성공할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저도 그걸 잘 몰라서 블로그나 하고 있습니다.ㅎㅎ 아무튼 여러분이 성공하지 못하는 결정적 이유를 얘기해볼려고 합니다. 우리는 흔히 성공한 사람들이 자신의 노력만으로 성공했다고 생각합니다. 단언컨대 혼자만의 노력으로 성공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아니면 제손에 장을 지지겠습니다.(Feat.이정현) 한사람의 성공에 사회적 환경이 얼마나 결정적인지 살펴봅시다. 만약 이들이 한국에서 태어났다면 어땠을까요? 아인슈타인 - 수학과 물리밖에 할 줄 몰라 대학진학 실패후 비정규직 노동자로 전락할것입니다. 워렌 버핏 - 대출받아 주식에 투자하지만 코스닥 폭락후 한강에 투신할지도 모릅니다. 스티브 잡스 - 휴대폰 판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