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관리 메뉴

사건의 지평선

잠의 과학 - 잠이 보약이다 본문

저 널

잠의 과학 - 잠이 보약이다

이벤트호라이즌 2017. 4. 16. 23:48



과거에 비해 현재는 밤에도 볼거리 먹거리 즐길거리가 굉장히 풍부한 시대입니다. 그런 시대이다 보니

야간에 근무하는 직업도 있고 올빼미형, 종달새형이라고 분류하며 야간활동을 주로하는 사람과 주간활동을

하는 사람으로 나누기도 합니다. 그래도 어쨋든 잠은 자야 생활을 할 수 있는건 분명한데요.

그래서 이 잠에 대해 알아보고 합니다. 수면이 주는 효과와 올바른 수면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잠은 얼마나 자야 충분할까요? 일반적으로 알려진 적정수면시간은 7~8시간입니다. 그렇다면 반드시 7~8시간을

자야할까요? 5시간만 자도 충분한 사람도 있고 10시간을 자야 되는 사람도 있다고 합니다.

나폴레옹은 수면시간이 굉장히 적다고 알려져 있는데 알려진바에 의하면 굵고 짧게 푹자는 토막잠으로

일상생활을 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평소 부족한 수면은 가끔씩 몰아서 1~2일 이상을 잤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현대의 수면과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너무 적게 잠을 자는 경우 사망률이 증가하고 고혈압, 당뇨병등의 

발생위험이 증가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너무 잠을 많이 잘 경우에는 어떨까요? 그것에 대한 연구는 현재

진행중이라고 하니 조만간 알려질것입니다. 하지만 잠을 지나치게 많이 자본 경험들 있으실텐데 허리가 

아프던가 배가 고파서 깨던지 등의 이유로 더이상 잠을 잘 수 없게될 때가 많으실 겁니다.


이렇게 잠은 우리 몸의 생체 시계에 따라 24시간을 주기로 일정한 수면시간과 각성의 상태를 반복하게 됩니다.

그래서 같은 시간쯤 졸리게 되고 알람이 없어도 비슷한 시간에 잠이 깨게 되는것입니다. 낮동안 활동하게 되면

수면 유도물질이 축적되게 되고 일정량 쌓이게 되면 잠이 오게 되는 것입니다. 잠과 관련한 뇌의 부위는

시교차상핵으로 송과체에서 멜라토닌이 분비된다고 하는데요. 멜라토닌은 어두울때 많이 분비되고 밝을때는

적게 분비됩니다. 그래서 자기전에 스마트폰을 보는것은 숙면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니 피하시는것이 좋습니다.


그럼 수면이 주는 6가지 효과를 알아볼까요?

1. 집중력, 기억력을 향상 - 잠이 부족하면 학습장애와 일의 능률이 저하됩니다.

2. 비만 및 당뇨를 예방 - 잠이 부족하면 탄수화물을 체내에 저장하고 대사가 느려져 비만이 되기 쉽고, 

당뇨에 걸릴 위험이 높아집니다.

3. 안전사고 예방 - 잠이 부족하면 낮에 졸리기 쉽고, 실수나 넘어지는 등 안전사고 위험이 높아집니다.

4. 행복감 증가 - 잠이 부족하면 감정변화가 심하고, 예민하거나 우울해지기 쉽습니다.

5. 고혈압 심장질환 예방 - 잠이 부족하면 고혈압, 부정맥 및 심장질환의 위험을 높입니다.

6. 면역력 강화 - 잠이 부족하면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의 생산과 활동을 저하시켜 면역력을 저하시킵니다.


위와 같은 효과를 얻기위해서는 지키면 좋은 수칙이 있습니다.

1. 잠자리에 드는 시간과 일어나는 시간을 최대한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특히 아침에 일어나는 시간은 

일정하게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시간에 집착해 늦게 잔만큼 늦게 일어나는걸 반복하면 불면증을 유발합니다.

2. 낮잠은 절대 피할 것은 아닙니다. 오후 2~3시 사이에 30분 이내의 짧은 낮잠은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최근에는 커피냅이고 하여 커피를 마시고 짧은 낮잠을 자면 낮잠의 효과가 더 좋다고 합니다. 

3. 오전에 가능한 한 규칙적으로 운동을 합니다. 늦은 시간의 운동은 좋지 않습니다. 

너무 늦은 시간에 운동하면 도리어 몸이 깨어나서 잠을 자기 어려우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4. 술이나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는 삼가하는것이 좋습니다.

5. 너무 덥거나 추운 것은 좋지 않습니다. 자기 전에 따뜻한 물로 목욕하는 것이 근육 이완에 도움이 됩니다. 

반신욕이나 족욕도 좋습니다.

6. 너무 배가 고파도 잠이 오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과식해도 역시 잠이 오지 않으니출출하다면 따뜻하게 

덥힌 우유 한 잔과 빵 반 조각 정도로 배를 조금 채우고 잠을 청하는것이 좋습니다.

7. 잠이 오지 않거나 자다가 깬다고 해서 불을 켜지 않습니다. 어두운 분위기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음이 심하다면 귀마개, 눈가리개 등으로 불필요한 자극을 차단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잠은 꼭 필요한 생리적인 현상입니다. 스트레스등으로 불면증이 생겼다면 의사의 처방을 받고 위의 수칙들을

잘 지키신다면 불면증의 예방에도 도움이 될것입니다. 



신은 현세에 있어서 여러가지 근심의 보상으로서 

우리들에게 희망과 수면을 주었다.

- 볼테르 -

'저 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형별 운동방법과 식단방법  (1) 2017.04.14
가짜뉴스와의 전쟁  (0) 2017.04.13
인간을 위한 4차 산업혁명?  (0) 2017.04.11
특이점이 온다 - 레이 커즈와일  (0) 2017.03.31
뇌가 존재하는 이유(Feat. 운동)  (0) 2017.03.27
Comments